번아웃을 막는 건 워라밸이 아니다

번아웃은 업무 시간이 길어서 오는 것이 아니라, '현타' 즉, 일의 의미를 찾지 못할 때 온다. 번아웃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천천히 하는 것이 아니라, 일에 의미를 찾거나 환경을 바꾸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일하면서 듣는 (또는 하는) 가장 어색한 말 중 하나가 야근하고 있는 사람에게 ‘천천히 하세요, 그러다가 번아웃 와요’ 하는 말이다.

사실 업무 시간이 길어서 때문에 번아웃이 오진 않는다. 번아웃을 겪던 시기를 떠올려 보면 그 원인이 단순히 일이 많아서는 아니었다. 내 경우에는 ‘현타’가 이유일 때가 더 많았다. ‘이렇게까지 하는데 왜 안 되지.’ 또는 ‘이게 이럴만한 일인가.’ ‘내가 여기서 뭘 하는 거지’ 하는 생각 말이다. 반대로 번아웃에서 벗어낼 때 또한 업무 강도가 낮아졌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환경이 바뀌었거나 내가 일에 의미를 찾았을 때 번아웃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니까 어떤 경우에도 ‘천천히 하세요, 그러다가 번아웃 와요’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열심히 하는 것이 번아웃의 이유도 아니고, 천천히 하는 것이 번아웃의 해결책도 아니니까 말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버닝하는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말은 돕겠다는 말이다. 그 사람도 자신을 그렇게까지 갈아 넣고 싶지 않을 거다. 그럼에도 필사의 노력을 하는 이유는 스스로를 불태워서라고 해내고 싶은 뭔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동료가 불타고 있다면 번아웃이 올 수 있다는 무시무시한 조언보단 도움을 주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도움이란 이런 것이다. 해내려는 일이 무엇인지 진심으로 이해해 주는 것, 비슷한 일을 겪어본 입장이라면 해낼 방법을 같이 고민하고 알려주는 것, 실질적으로 도울 수 없는 일이라면 응원을 해주는 것이다.

그러니 누군가가 미친 듯이 불태우고 있다면 그 불이 헛되지 않게 하는 편을 택하는 것에 좋겠다. 버닝에 진심어린 도움을 주는 사람이 있다면 그 불이 아름다운 폭죽이 되어 터지지 않고 불발로 끝난다고 하더라도, 아예 잿더미가 되진 않을 거다. 행여 모두 불발이 되더라도 다음 폭죽을 준비하는 새로운 불씨가 생길 거라고 믿는다. 불씨의 행렬이 계속된다면 그렇게 막고 싶었던 번아웃은 막아질거다.

Read more

디자인에 기대하지 않는 조직의 디자이너는 무엇을 할 수 있나

디자인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팀에 속해 있다면, 디자이너가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디자인이 가져올 임팩트에 대해 신뢰가 낮다면 모든 것이 결정된 뒤에 디자이너에게 프로젝트의 세부 사항이 공유되고 그렇기에 디자이너의 자율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디자이너가 뭐라도 더 좋게 바꿔보고 싶어서 개선점을 계속 제안한다 해도 상황이 크게 나아지진

멘탈관리와 GPT

매일 컨디션 관리를 위해 비타민을 먹는 것처럼 정신적 컨디션 관리를 위해서도 습관이 필요하다. 명상이 효과적이라는 말을 듣고 시도도 해봤지만, 적절한 명상법을 찾지 못했다. 명상 가이드를 듣는 내내 딴생각을 하거나 잠들기 일쑤였다.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다가 멘탈 헬스 케어 서비스들을 탐색하게 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디스턴싱이라는 서비스가 있었고, 해외 서비스로는 Stoic이

이 화면은 마지막이 아닌 중간에 있다.

한때 우아한 형제들의 ‘송파구에서 일 잘하는 방법 11가지’라는 포스터가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고루한 단어를 골라 엄격하게 작성해야 할 것 같은 조직 문화를 매우 캐주얼하게, 캐주얼하다 못해 아예 마음에 콕콕 박히게 써서 모두 공감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몇 년이 지나서 우아한 형제들의 ‘배민다움’에 대한 정의는 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