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에 기대하지 않는 조직의 디자이너는 무엇을 할 수 있나

디자인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팀에 속해 있다면, 디자이너가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디자인이 가져올 임팩트에 대해 신뢰가 낮다면 모든 것이 결정된 뒤에 디자이너에게 프로젝트의 세부 사항이 공유되고 그렇기에 디자이너의 자율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디자이너가 뭐라도 더 좋게 바꿔보고 싶어서 개선점을 계속 제안한다 해도 상황이 크게 나아지진 않는다. 디자인이 비즈니스에 끼치는 영향이 적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디자이너의 문제의식은 받아들여지기 어렵고, 여러 번 설득에 설득을 거듭하다보면 겨우 나중에야 거의 (너무 거절해서 미안하니까) 들어주다시피 개선 사항이 받아들여진다.

이런 현상은 꽤 흔한 것 같다. 디자이너들과 커피챗을 해보면 위와 같은 상황을 겪는 디자이너들을 종종 만날 수 있었고, 그들의 어려움은 ‘이 조직을 떠나야 하나’라는 깊은 고민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 고민에 너무 공감했지만, 마땅한 도움이 되는 대화로 이어지진 않았다. 내가 했던 말이라곤 ‘진짜 의지를 가지고 팀을 바꿔보세요’, ‘팀을 바꾸려면 작은 성공들이 모이는 것이 중요해요’ 같은 속 시원하지 않은 말뿐이었는데, 최근의 경험들로 생각이 바뀌어 다시 적어본다.

지금의 나라면 디자인에 기대를 심어줄 방법은 없을지 생각해 보자고 말할 것 같다. 디자인이 만들 수 있는 매직이 있는데, 그게 바로 더 나은 것을 보여주면서 설득하는 것이다. 디자이너는 시각적으로 뭔가를 그려냄으로써 진짜 멋진 것을 상상하게 하고, 팀을 꿈꾸게 할 수 있다. 팀이 Usable한 제품을 기대할 때, 디자이너는 Lovable한 제품을 그려내고 보여줄 수 있다. 이건 그리 새로운 생각은 아니다.

2017년 Brian Chesky가 팟캐스트 Master of scale에서 Airbnb의 11 star framework를 소개했다. 11 Star Framework는 5성급, 6성급을 넘어 11성급 호텔의 경험은 어떤 것일지 상상해 보는 것이다. 5성급, 6성급, 7성급 호텔을 상상할 만하다. 그보다 더 좋은 경험으로 넘어가면 상상하기 어렵다. Brian Chesky는 팟캐스트에서 공항에 도착했는데 일론 머스크가 나와서 그냥 ‘우리 이제 우주로 가는 겁니다’ 하는 게 11 성급 쯤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11 Star Framework의 핵심은 한 번이라도 11성급 호텔을 상상하고 이 경험을 어떻게 천 명, 만 명, 10만 명에게 줄 수 있을까 고민하는 것이다. 모든 팀이 이 고민을 함께하는 순간이 디자이너의 매직이 일어나는 순간이다. 꼭 11성급 호텔처럼 거창한 미래의 경험을 만들어내지 않아도 된다. 아주 작게 시도해 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주 작은 컴포넌트라도 평소에 우리 팀이 만들었던 수준이 3이라면, 4, 5, 10을 그려보는 것이다. 10을 보여주는 순간, 분명 어떤 개발자들은 너무 어렵겠지만 내 시간을 더 써서라도 만들어보고 싶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 뒤에는 제품의 핵심 사용성을 끝판왕으로 그려본다거나, 시각적으로 이전과 다른 완성도를 보여주는 것도 방법이다. 또 새로운 기술이 발 빠르게 대처해 우리가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는 제품을 만들고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줄 수도 있다.

그래서 나의 달라진 생각은 디자인에 기대가 없는 팀이라면 최고의 경험을 보여줌으로써 팀이 꿈꾸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험들이 누적되면 우리 팀에서는 안 된다고만 생각했던 것을 해볼 수 있게 되고, 디자인에 더 큰 기대를 하게 된다고 믿어보고 싶다.

Read more

10년쯤 하면 얼마나 잘하겠어

이번 주에 생일이 있었고, 나이를 한 살 더 먹었다. 평소에 생각하기를, 앞으로 나이는 더해질 일만 있고 줄어들 일은 없는데 계속 슬프게 생각해 봤자 지는 게임이다, 나이 드는 것을 한탄하길 그만두자 이렇게 마음을 먹어왔다. 그렇긴 했어도 생일이란 센치해지기 마련인 건지, 또 그새 그걸 유튜브 알고리즘이 눈치챈 건지 “나답게 잘 사는 40대가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본 '더 인플루언서'

'더 인플루언서'를 재밌게 봤다. '더 인플루언서'는 말 그대로 인플루언서들의 서바이벌 예능으로 SNS의 인플루언서들이 나와서 콘텐츠 댓글, 좋아요, 라이브 시청자 수 등을 두고 경쟁하는 프로그램이다. ‘뭐 재밌겠어?’ 하면서 보다가 내 직관이 계속 틀리니까 ‘이게 된다고?’를 외쳤고 계속 다음 화를 눌렀다. (약간 스포일러 주의) 내

롤모델을 반품하기

대체 왜 그러는지 모르겠는데, 난 자주 자기 전에 침대에 누워서 쇼핑을 한다. 밤만 되면 판단력이 흐려지는 것을 알면서도 열두 시가 지나면 할인이 끝난다는 말은 쉽게 포기가 되지 않는다. 그날은 검은색 홀터넥 셔츠를 구매했다. 다음 날 출근길에 들여다보니 그리 마음에 들지 않아 반품하려는데 이미 배송을 시작했다고 하여 취소할 수도 없었다. 하루하고

푸꾸옥에서 한 생각들

1. 『퇴근길의 마음』 을 읽었다. 휴가지에서는 에세이만 한 것이 없고 언제나 나의 선택은 이다혜 작가와 하루키 언저리에서 결정된다. 부디 이 작가들이 매해 책을 써주길 빌어본다. 노는 김에 무엇을 한다고 생각하면 노는 시간도 일이 된다. … 이른바 일의 연장으로서 인간관계가 여가 활동에도 전부 연결되어 있다면 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업계를 떠난 뒤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