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의 쓸모

사는 게 마음에 들지 않고, 뭐부터 해야 할지 막막할 땐 가장 두려운 일 먼저 해야 한다. 이 삶의 프로토콜은 트위치 창업자 Michael Seibel 의 영상을 보고 생겼다. 두려움은 좋은 신호다. 내가 뭔가를 두려워하고 있다면, 그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이란 얘길 듣고 한대 얻어맞은 것 같았다. 두려움을 피하거나 맞서려고 했는데 이런 쓸모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 없었다. 두려움은 가장 직관적으로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라는 말은 나를 크게 바꿨다.

그래서 내가 지금 일이 (개인적으로든, 업무적으로든) 안 풀린다, 하는 일에 성과가 없다, 성장하는 것 같지 않다 싶으면 지금 내가 제일 두려운 게 뭐인지 생각해 보는 버릇이 생겼다.

요즘 상황은 이랬다. 새로운 회사에 한 달째인데, 생각보다 일이 손에 붙는 데 시간이 걸린다 싶었다. 그간 경험에 의하면 한 달쯤 지나면, 내 일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있었고 더 하고 싶은 게 생겨서 정리하기에 바빴는데 아직 그 단계에 진입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돌이켜봤다. 지금 내 두려움이 뭔가. 사람을 사귀기 어려워하는 내향인인데 새로운 회사는 나에겐 무척 난이도가 높은 환경이었다. 이번에 맡은 일엔 도메인 지식이 하나도 없어서 일에 필요한 정보를 모두 새로 배워야했는데 그러려면 자꾸 물어보는 것이 필수였다. 하지만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뭔가를 물어보는 것이 어색해서 직접 질문하는 일은 최후의 수단으로 남겨두고, 계속 노션에서 검색하고 슬랙에서 찾아보며 혼자 히스토리를 파악하려고 하니 속도가 더딘 것이었다.

이걸 깨닫고 의식적으로 더 자주 물어보고, 물어보기 쉬운 신뢰 관계를 형성하려고 노력했다. 가까이 일하는 사람들과 커피챗을 요청하고 느슨한 협업 관계자들과도 더 자주 메시지를 주고받았다. 일면식 없더라도 당돌하게 슬랙에서 멘션 하는 것도 꺼리지 않고.

이렇게 한 주를 보내니 훨씬 편해진 기분이다. 작년쯤인가, 그때도 두려운 일을 먼저 하기 프로토콜의 효과를 톡톡히 봤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막막할 땐 내 두려움을 알고 가장 두려운 일을 먼저 하기. 안 까먹게 계속 써야겠다.

두려운 일 먼저 하기, 두려운 일 먼저 하기.

Read more

디자인에 기대하지 않는 조직의 디자이너는 무엇을 할 수 있나

디자인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팀에 속해 있다면, 디자이너가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디자인이 가져올 임팩트에 대해 신뢰가 낮다면 모든 것이 결정된 뒤에 디자이너에게 프로젝트의 세부 사항이 공유되고 그렇기에 디자이너의 자율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디자이너가 뭐라도 더 좋게 바꿔보고 싶어서 개선점을 계속 제안한다 해도 상황이 크게 나아지진

멘탈관리와 GPT

매일 컨디션 관리를 위해 비타민을 먹는 것처럼 정신적 컨디션 관리를 위해서도 습관이 필요하다. 명상이 효과적이라는 말을 듣고 시도도 해봤지만, 적절한 명상법을 찾지 못했다. 명상 가이드를 듣는 내내 딴생각을 하거나 잠들기 일쑤였다.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다가 멘탈 헬스 케어 서비스들을 탐색하게 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디스턴싱이라는 서비스가 있었고, 해외 서비스로는 Stoic이

이 화면은 마지막이 아닌 중간에 있다.

한때 우아한 형제들의 ‘송파구에서 일 잘하는 방법 11가지’라는 포스터가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고루한 단어를 골라 엄격하게 작성해야 할 것 같은 조직 문화를 매우 캐주얼하게, 캐주얼하다 못해 아예 마음에 콕콕 박히게 써서 모두 공감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몇 년이 지나서 우아한 형제들의 ‘배민다움’에 대한 정의는 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