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상한 비행

발리로 여행을 간다. 인도네시아를 동남아라는 느슨한 범주에 넣어버리고 비행시간을 얕잡아봤는데 총 6시간 30분이나 걸리는 긴 거리였다. 장시간 비행에 나름대로 대비책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옆자리 고수들을 보면 또 한 수 배운다. 이번에 깨달은 바를 더해 80cm의 좁은 공간에서도 여유를 잃지 않는 방법을 적어본다.

소지품의 적절한 안배

일단 비행용 파우치와 작은 가방은 필수다. 큰 가방은 선반 위에 넣어버리고 발 앞에 둘 작은 사이즈의 가방은 꼭 소지하고 있어야 이것 저것 넣고 빼기 쉽다. 이번엔 백팩을 들고 가서 아주 편했다. 앞에 둘 가방은 흐물거리는 형태보단 바닥에서도 견고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형태가 제 역할을 톡톡히 한다. 가방 안에는 노트북이나 책을 넣어두고 필요할 때 꺼낸다.

파우치도 있어야 한다. 파우치에 개인 위생용 도구를 따로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칫솔 치약 (혹은 리스테린), 클린징 티슈가 있으면 좋다. 비행기 안은 좁으므로 클린징 티슈는 되도록 탑승 직전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것도 좋겠다. 들어가기 전 메이크업은 지우고 수분 크림을 듬뿍 바르고 타면 비행기 안 건조함과 싸울 무기다 된다. 바르고 자는 슬리핑 팩이 있다면 그것도 좋다. 파우치는 가방에 넣든 꺼내서 두든 상관없지만, 만약 따로 둔다면 끈이 있는 형태가 좋다. 대부분 비행기에는 옷을 거는 용도의 고리가 있다. 옷걸이 그림이 무색하게 무척 작지만, 옷 대신 파우치를 걸어두면 제격이다.

컨디션 관리

그 다음 중요한 건 기내 건강이다. 나는 정말 비행기만 타면 건조함을 견디질 못한다. 얼굴은 수분 크림이나 팩으로 어떻게 해결한다 하더라도 목과 코가 따가워 오는 것은 처치곤란일 때가 많았다. 그래서 공항 약국에서 목 칙칙, 코 칙칙을 구매하는 편이다. (명칭은 나잘 스프레이이다.) 스프레이는 식염수가 주 성분이라 향은 없이 촉촉한 느낌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코감기 용으로 나온 제품은 항 히스타민과 알싸한 향이 있다. 잘 골라서 구매해야한다. 이번엔 감기용으로 나온 것을 잘못 골라 촉촉하지만 매웠다. 목도 동일하다. 목감기용으로 나온 것은 좀 더 맵다. 눈 건조를 보호하는 인공 눈물도 덤으로 챙기면 좋겠다. 주로 잠을 자는 편이라면 발열 눈 안대를 쓰는 것도 방법이다. 아무래도 따뜻하게 눈을 감고 있으면 심각한 건조는 막아준다.

이번에 새로 시도해본 아이템이 있는데 바로 ‘가습 마스크'다. 일반 일회용 마스크와 동일하게 생겼는데 안에 광대 위치쯤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솜을 껴넣는 슬롯이 장착되어있다. 솜에 약간의 물을 적시고 껴 넣으면 물이 증발하면서 습기를 더해주는 자연스러운 원리다. 아주 효과적이진 않았는데 그래도 비행 중반을 넘어가니까 없는 것보단 나았고, 후반부에 갈 수록 물을 더 넣을 정도로 아주 절실한 아이템이 되었다.

이건 이번에 알게된 또 다른 새로운 무기가 있다. 잘 때 다리의 붓기를 빼준다는 압박 스타킹이다. 비행기에 타길 기다리면서 탑승구 앞에 서 있는데 내 앞에 머리를 모두 묶어 올리고 타이트한 상의와 통이 넓은 바지를 입어서 누가봐도 무용을 할 것 같은 의상을 입은 두 여성이 바지 안에 압박 스타킹을 입고 있는 것을 봤다. 비행 시간이 길어지면 몸이 붓는데 맞다, 저걸 하면 좋겠다 싶었다. 아직 시도는 안해봤지만 다음에 꼭 시도해볼 예정이다.

제한적 여유 시간

아이템을 모두 장착했다면 이제 비행 시간을 어떻게 보낼것인지 생각해봐야한다. 원래는 주로 넷플릭스를 담아갔는데 이번에는 다른 것을 시도해보기로 했다. 비행기만큼 딴 짓이 제한된 곳이 없다. 꼭 읽어야 하는 아티클, 써야 하는 글을 정해두고 나름의 챌린지를 만들어보기로했다. 이번에 각각 38페이지, 12페이지의 아티클을 읽기로 했는데 2시간만에 해버려서 아주 만족스러웠다. 꼭 해야하는 일이 있고 그게 어느정도 도전 의식이 생기는 난이도라면 긴 비행시간도 “이제 3시간 밖에 안남았네! 어서 속도를 높여야겠어.”하는 생각이 들어서 남은 비행시간이 그렇게 막막하지 않다.

이것도 아직 시도는 안해봤는데 음악 앨범을 쭉 들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몇 악장씩 되는 클래식도 좋을 것 같고 다들 명반이라고 하지만 나는 잘 모르겠어서 좀 더 여러 번 들어 보고는 싶은데 자꾸 음악 들으면서 인스타그램을 하게 된다면 비행기가 딱 좋은 장소다. 여기선 가능한 콘텐츠가 많지 않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인스타 보면서 음악듣기, 티비 보면서 유튜브 찾기같은 멀티테스킹을 할 수 없다. 오로지 하나에 집중해야한다.

준비가 잘 되어있다면 비행기 안처럼 생산적인 공간이 없다. 얼마나 생산적이면 내가 이 글을 쓰고 있을까. 평소같으면 이런 얘기 나중에 써야지 하고 메모만 남겨뒀을 거다. 그러면서도 드는 솔직한 생각은 이런거 다 됐고 그냥 앞으로 성큼성큼 걸어가서 비지니스 석에 눕고 싶다는 마음이다. 그 곳에서 웰컴 샴페인을 마시면서 글을 쓰든, 음악을 듣든, 뭘 하든 얼마나 고상하겠는가. 이렇게 돈 많이 벌고 성공하고 싶다는 동기부여까지 할 수 있다니. 그리고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아직 2시간이나 남았다니! 아무래도 비행기는 최고로 생산적인 장소인 것 같다.

Read more

어차피 처음은 욕심만큼 못해

잘 해내고 싶어서 욕심을 부릴 때가 있다. 하지만 욕심만큼 잘 해내는 일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내 욕심은 100에 있는데 실제로 할 수 있는 건 80정도 성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주 인터렉션을 매끄럽게 잘 만들고 싶은 화면이 있었다. 레퍼런스도 엄청나게 찾아보고 계속 파고들면서 이것저것 시도해 봤는데 결론은 허무하게도 복잡한 효과가 들어가지

회사 안의 내가 행복해야 회사 밖의 나도 행복하다.

참여하는 디자이너 스터디가 있다. 한 달에 한 번 책이나 특정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는데 지난 12월에는 연말답게 1년의 디자인 작업을 돌아보며 어떻게 일을 할 것인지에 관해 이야기했다. 이야기하다 보니 직장인으로서 누구나 빠지기 쉬운 순환 고리를 알게 되었는데 흐름은 이렇다. * 의욕적으로 회사 일을 열심히 하고 스스로를 갈아 넣는다. * 하다 보면 내 선에서

신뢰의 와우 모먼트

많은 영역이 직감으로 작동한다고 믿는다. 특히 사람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 첫인상이 오래 가는 것처럼 말이다. 최근에 신뢰도 선형적으로 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저가 어떤 서비스의 가치를 깨닫고 계속 쓰게 되는 순간을 와우 모먼트라고 말한다. 이 공식은 디지털 제품이 아니더라도 모든 경험에 존재한다. 고생하더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