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을 탁 친 맞는 말들

한 주간 자잘하게 얻은 지혜가 많아 정리해보려고 한다.


북마크를 멈추고 소화의 시간을 갖기.

새 회사에 두 달째, 난 계속 정보의 굴을 파고 있다. 이쯤 되면 히스토리를 다 파악했겠지, 싶었는데 모르는 게 또 나오고 또 나온다. 동시에 새로운 정보도 계속 생성되어서 계속 확장하는 지도를 외워야 하는 형에 처한 것을 아닐지 생각했다. 도저히 안 되겠기에 조금 비효율적이지만 스스로 정리하는 노트를 만들었다.

  • 이미 정리되어 있는 히스토리 내 말로 다시 쓰기
  • 잘 정리된 팀 백로그 다시 정리하기
  • 결과가 증명된 디자인 실험들 개인 페이지로 옮겨서 다시 정리하기

이제야 비로소 서서히 내용을 소화할 수 있었다. 언제부턴가 학습을 위한 끄적임을 하지 않게 되었다. 그게 언제부터였더라. 아마 모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이 탄생하고 나서부터 인 것 같다. 그때부터 한 사람이 정리하면 다른 사람들이 보기만 하는 방식으로 적히고 편집되었다. 언제든 정리된 문서를 볼 수 있는다는 안심에 내용을 소화하려고 하지 않고 북마크만 찍으면 땡이었다. 그러니 링크 지옥에 빠져버릴 수밖에.

이미 다 정리되어 있는데 뭘 내가 다시 쓰나, 허튼짓이다, 생각 말고 학습을 위한 끄적임의 시간을 갖자. 그래야 머릿속에 떠다니는 키워드를 가라앉히고 소화할 수 있다.

리스크가 없는 결정은 할 가치가 없어요

이번 주에 이 말을 듣게 되었다. 아하, 너무 맞는 말. 리스크가 없는 실험을 할 거면 가설을 왜 세우나. 다 가설이 아니라 정답인데. 이미 다 알고 있는 답으로만 제품을 만들면 실패할 일도 더 잘할 일도 없거니와, 모두가 똑같은 답을 보면서 제품을 만들기에 결국 모든 제품이 다 똑같아질 것이다.

회사의 규모가 커질수록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도 커지는 것이 맞는 성장 방향이다. 규모가 10인 회사가 1 리스크를 견딜 수 있었다면 100이 되면 적어도 10 리스크는 견딜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오히려 규모가 커질수록 리스크를 더 회피하고, 예전엔 감당할 수 있던 것도 견디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다.

회사가 커지며 염증 수치가 올라갔기 때문이 아닐까. 염증 수치는 낮추고 자정 작용을 늘려야 한다. 그래야 작은 회사가 하지 못하는 더 큰 모험을 해볼 수 있다. 그게 큰 회사가 살아남는 법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Done까지만 하는 사람

Done is better than perfect. 스타트업의 채용 페이지를 보면 십중팔구는 쓰여 있는 문구다. 나는 저 말을 굳게 믿어왔다. 문제는 그러다 보니 Done까지만 잘하는 사람이 되어버렸다는 거다. 그다음 더 높은 기준으로 Perfect를 향해 가는 것도 도전적인 일인데, 그걸 노력해 본 적이 별로 없다.

시작할 때는 Done is better than perfect가 맞지만, 일단 해냈다면 그다음은 Perfect가 목표다. 그 길도 험난한 여정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두 가지를 다 해야 한다

속도와 완성도, 가격과 품질, 맛있는데 건강한 거.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사실 아니다. 선택과 집중이란 말은 너무 남용된다. 물론 둘 중 하나라도 잘하면 된다. 하지만 진짜 파괴력 있는 제품을 만들려면 이걸 다 해야 한다. 저렴한 데 맛있는 맥도날드, 맛있는데 제로 아이스크림, 예쁜데 값도 싼 가구 이케아.

사람도 마찬가지다 리더라면 인사와 실무를, 디자이너라면 기획과 그래픽을 모쪼록 다 잘하면 최고가 된다. 위에 적은 Done과 Perfect도 마찬가지겠다. 엄청 여러 분야에서 최고일 필요도 없다. 딱 두 가지 정도만 진짜 잘하면 파괴적인 제품, 사람이 된다. 역시 결국 다 역량의 문젠가.

역량과 담력의 밸런스

역량을 키우기 위해선 담력이 필요한 시기가 오는 것 같다. 내가 머무는 영역에서 충분히 내 값을 한다 싶고 이제 뭘 더 할지 모르겠다면 역량이 아닌 담력을 키워야 하는 것 같다. 할 수 없을 것 같은 일을 해보거나, 해보지 않았던 방식으로 일을 해보는 것도 거기에 해당한다.

서로가 성장을 돕지만, 밸런스 붕괴는 위험하다. 역량은 있지만 담력이 없다면 더 이상 성장할 수 없을 것이고, 담력만 넘치는 경우 제 체급으로 이길 수 없는 싸움에서 지고 몸도 마음도 다치고 만다. 돌이켜보면 난 담력이 센 편이었다. 가끔은 성장했으며 가끔은 크게 데였다. 지금은 어떤가 역량이 센가, 담력이 센가.

Read more

요즘 일에 대한 생각들

1. 흑백요리사가 여전히 화제다. 하도 여러 셰프들이 이렇다, 저렇다 해서 질릴 만도 한데 봐도 봐도 질리지 않는 사람은 에드워드 리 셰프다. 어떻게 사람이 파도 파도 미담만 나오지. 유퀴즈에 출연한 것을 봤는데 요리를 퍼즐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걸 여기로 옮기고 저걸 저렇게 하면 어떻게 되지?’하는 마음으로 본다고, 요리 앞에선 어린아이가 된다고

시들함은 해롭다

‘무엇이 나를 살아있게 만드는가’라는 책을 읽었다. 즐겨보는 ‘장동선의 궁금한 뇌’에서 소개해서 읽게 되었다. 책에서는 ‘시들함’이라는 마음 상태를 정의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활력을 찾는 방법을 말한다. 마침, 당시 내 감정 상태도 딱 그러해서 공감하면서 읽었다. 책의 내용을 빌리자면 시들함은 다음과 같다. * 건강하고 경제적으로도 안정되었으니 축복받은 셈이라고 생각하면서 불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