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동기로 버티는 능력

예전에는 흔들리지 않을 무한한 동기부여의 샘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생각이 바뀌었다. 시기마다 동기부여가 다른 것이 더 자연스럽다. 어떨 땐 함께 일하는 동료가 좋아서 몰입될 수도 있고, 어떨 땐 하는 일 자체가 재밌어서 몰입될 때도 있고, 어떨 땐 성취감 때문에 성실해지기도 한다. 그 이유가 그 생각으로 인해 지금 하는 일이 재밌고 더 열심히 하게 만들어준다면 뭐든 좋다는 것이 요즘 결론이다.

이런 작고 소중한 동기들은 힘들 때 더 가치가 있다. 일을 하다 보면 ‘요즘 나 왜 이렇게 잘하지?’ 하는 시기도 오고 ‘왜 이러지'하는 시기도 찾아온다. 이런 시기는 언제 올지 알 수 없고 언제 떠나갔는지도 모르게 지나가기도 한다. 그저 버티면서 지내다 보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를 지나와있다.

이렇게 온전히 견뎌야만 성장할 수 있는 시기에 한 가지 동기로만 살아남으려고 하지 말고, 다른 이유를 찾아내는 것이 나에겐 도움이 되었다. 나를 움직이게 했던 동기가 정말 작게는 사무실이 좋아서 일 때도 있었고, 새로 바꾼 노트북의 키감이 좋아서 일할 맛이 날 때도 있었고, 심지어는 저녁에 뿌듯하게 맥주를 마시고 싶어서 하루를 열심히 살기도 했다. (바쁠수록 왠지 맥주가 더 맛있더라)

물론 일을 이끌고 갈 큰 동기부여가 있으면 좋다. ‘사람들이 얼마나 여행 가고 싶어 하는데, 나는 그 경험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거야!’라고 생각하는 것은 자긍심을 느끼게 한다. 이런 큰 동기 부여로 사소한 어려움들은 뛰어넘게 된다. 오늘 너무 지치더라도 “그래도 이런 좋은 일을 하니까.”라고 생각하게 되니까.

하지만, 나의 경우에만 비춰보면 정말 지쳤을 땐 저런 생각이 도움이 되기 어려웠다. 내가 업무로 번아웃이 와서 모든 것이 부질없게 느껴지는데 “여행의 경험을 좋게 만드는 거야!” 같은 고생한 동기는 너무 나와 멀게 느껴지고 “그래서 뭐!”라는 반응만 일으킬 뿐이었다. 그럴 땐 오히려 “아, 그래, 오늘 잘 해내고 저녁에 넷플릭스 봐야지”나 “그래도 팀원이 혼자 고생하는데 어떻게 모른 척 해” 같은 생각들이 “정신 차려!”를 외치게 했다. 그러다가 비생산적인 시기를 버티고 지나서 보면 다시 직업에 대해 숭고한 의의를 되찾기도 한다.

그래서, 멋진 일을 멋지게 하려면 우선 버티고 봐야 된다. 그 버티는 방식이 거룩한 것이든 사소한 것이든, 웃기는 것이든 크게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우선 “버텨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내일 출근해야 하는 스스로에게 하는 말이다. 버티자. 일찍 출근하자.

Read more

디자인에 기대하지 않는 조직의 디자이너는 무엇을 할 수 있나

디자인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팀에 속해 있다면, 디자이너가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디자인이 가져올 임팩트에 대해 신뢰가 낮다면 모든 것이 결정된 뒤에 디자이너에게 프로젝트의 세부 사항이 공유되고 그렇기에 디자이너의 자율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디자이너가 뭐라도 더 좋게 바꿔보고 싶어서 개선점을 계속 제안한다 해도 상황이 크게 나아지진

멘탈관리와 GPT

매일 컨디션 관리를 위해 비타민을 먹는 것처럼 정신적 컨디션 관리를 위해서도 습관이 필요하다. 명상이 효과적이라는 말을 듣고 시도도 해봤지만, 적절한 명상법을 찾지 못했다. 명상 가이드를 듣는 내내 딴생각을 하거나 잠들기 일쑤였다.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다가 멘탈 헬스 케어 서비스들을 탐색하게 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디스턴싱이라는 서비스가 있었고, 해외 서비스로는 Stoic이

이 화면은 마지막이 아닌 중간에 있다.

한때 우아한 형제들의 ‘송파구에서 일 잘하는 방법 11가지’라는 포스터가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고루한 단어를 골라 엄격하게 작성해야 할 것 같은 조직 문화를 매우 캐주얼하게, 캐주얼하다 못해 아예 마음에 콕콕 박히게 써서 모두 공감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몇 년이 지나서 우아한 형제들의 ‘배민다움’에 대한 정의는 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