밋밋한 취미 옹호론자

새 회사에 출근한 지 이 주가 지났다. 아직 얼굴은 익숙하지만 이름이 바로 떠오르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는 어색한 상태다. 빨리 어색함을 풀고 싶어 매일 새로운 사람들과 점심을 먹는데, 음식이 나오기 전에 이런저런 얘기를 하면서 ‘취미가 있으세요?’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 질문을 들으면 좀 아득해진다. 왜냐면, 나는 이렇다 할 취미가 없기 때문이다. 클라이밍, 등산, 다이빙, 골프, 기타, 피아노, 베이킹 같이 쿨한 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넘친다. 그에 비하면 나는 글쎄, 필라테스를 꾸준히 하고는 있지만 이건 생존에 가깝지, 취미라고 할 순 없을 것 같고 ‘저 주말에 소파에서 피자 시켜 먹으면서 티비봐요!’라고 주말 일상을 열거하면서 취미라고 하긴 부끄럽다. 진정한 스타트업 피플이라면 주말엔 룰루레몬을 입고 한강 조깅 정도는 해줘야 일과 삶 모두 대충하지 않는 프로✨ 같은 느낌이 나니까.

취미를 순수하게 즐거움을 위해 하는 일이라고 정의한다면 나도 하는 게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즐거움을 위해서 청소하고, 강아지를 산책시키고, 책을 보고, 글을 쓴다. 그렇다고 저 ‘책 읽기가 취미예요’라고 하면 듣는 사람은 ‘음. 취미가 없군’이라고 여길 것 같은 두려움에 빠진다. 책 읽기는 너무 오랜 시간 만인의 둘러대기용 취미가 아니었는가.

아무튼 그래서 ‘취미가 있으세요?’라는 질문은 대답하기가 참 까다롭다. 나도 아주 가끔은 홍제천을 달리기도 하니까 ‘주말에 러닝해요!’라고 쿨한 척할지 아니면 ‘저 그냥 집에 박혀서 드라마 보는 거 좋아해요’라고 하고 솔직해야 할지. 아, 그냥 취미가 없다고 말할까. 아무래도 나는 취미가 없는 것인가. 이게 이렇게나 고민할 일인가.

이런 고민을 글까지 적어 가면서 하는 이유는 언제부턴가 라이프 스타일도 패션의 영역으로 들어와서 독특한 취미를 가져야만 세련된 사람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누구도 촌스럽게 보이고 싶진 않으니, ‘취미가 있으세요?’란 질문엔 충분히 센스있는 사람처럼 보이도록 신중하게 답해야 할 것만 같다.

근데 굳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취미는 그저 즐겁자고 하는 일인데. 나는 내향인이라 누구와 함께 하기보단 내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청소, 글쓰기, 책 읽기가 그러하다. 하지만 슬프게도 이런 종류의 밋밋한 취미(뜨개질, 책, 퍼즐 맞추기…)가 러닝과 클라이밍보다 쿨해 보이는 세상이 오긴 어려울 것 같다. 원래 세상은 불공평하다. 어쩔 수 없다.

이제야 여러 사람의 질문에 제대로 대답하건대, ‘제 취미는 청소와 책 읽기와 글쓰기고요, 약간 촌스러워 보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재미없는 사람은 아닙니다’. 이렇게나마 내 취미를 선언하며 밋밋한 취미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옹호의 깃발을 들어본다.

Read more

디자인에 기대하지 않는 조직의 디자이너는 무엇을 할 수 있나

디자인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팀에 속해 있다면, 디자이너가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디자인이 가져올 임팩트에 대해 신뢰가 낮다면 모든 것이 결정된 뒤에 디자이너에게 프로젝트의 세부 사항이 공유되고 그렇기에 디자이너의 자율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디자이너가 뭐라도 더 좋게 바꿔보고 싶어서 개선점을 계속 제안한다 해도 상황이 크게 나아지진

멘탈관리와 GPT

매일 컨디션 관리를 위해 비타민을 먹는 것처럼 정신적 컨디션 관리를 위해서도 습관이 필요하다. 명상이 효과적이라는 말을 듣고 시도도 해봤지만, 적절한 명상법을 찾지 못했다. 명상 가이드를 듣는 내내 딴생각을 하거나 잠들기 일쑤였다.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다가 멘탈 헬스 케어 서비스들을 탐색하게 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디스턴싱이라는 서비스가 있었고, 해외 서비스로는 Stoic이

이 화면은 마지막이 아닌 중간에 있다.

한때 우아한 형제들의 ‘송파구에서 일 잘하는 방법 11가지’라는 포스터가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고루한 단어를 골라 엄격하게 작성해야 할 것 같은 조직 문화를 매우 캐주얼하게, 캐주얼하다 못해 아예 마음에 콕콕 박히게 써서 모두 공감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몇 년이 지나서 우아한 형제들의 ‘배민다움’에 대한 정의는 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