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한 말을 하는 사람

나는 확실한 말을 하는 사람이고자 한다.

져주는 듯이, 내가 잘못을 그럴 수밖에 없었던 듯이 흘려보내는 것은 너무 쉽다. 어른이라면 이 정도로 알아듣고 넘어가자는 태도로 성숙하게 ‘그땐 그렇게 말하셔서 이런 뜻인 줄 알았어요’, ‘알겠어요, 그건 제가 오해한 게 맞는 것 같네요’. 라고 말하면 된다. 그럼 적당히 체면을 깎지 않는 선에서 ‘나는 잘못을 인정했다’는 느낌도 내면서 상황을 마무리할 수 있다.

근데 난 그런 말을 하는 스스로가 너무 찌질해 보인다. 물론 나도 쫄리는 순간엔 저런 화법을 하곤 하는데 그러고 나면 집 오는 내내 찌입찝하다. 아니, 내가 왜 착각했는지 그 착각에 상대방이 기여했는지 정리하는게 중요한가? 왜 오해를 한 게 맞는 것 같은가? 오해면 오해지 오해한 것 같다니. 내가 잘못했다. 그냥 그렇게 끝내면 얼마나 깔끔하고 좋은가.

그런 후회를 하고 나면 한동안은 진짜 별것 아니어도 그건 내가 오해했다. 내 잘못이다. 내 논리가 틀렸고 네가 맞았다는 얘길 확실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이렇게 하다 보면 나의 무식이 드러날 때도 종종 생긴다. 새로 입사하면 신규 직원에게 체크리스트를 주면서 ‘자, 이 중에서 모르는 거 체크하세요.’ 하지 않고 다 알겠거니 하면서 바로 일을 시키기 마련이다. 그럼 사실 잘은 모르는데 다 아는 척하면서 해야 하는 일이 꼭 생긴다. 내 경우에는 준법 검토가 그랬는데 이 정도로 지켜야하는 것이 많은 제품이 처음이라서 언제 어떻게 어떤 검토를 받아야 하는지 잘 몰랐다.

뭔가 놓친 일이 생겼을 때 (나도 체면이란 게 있으니까) ‘아, 제가 너무 정신없어서 그 과정을 놓친 것 같습니다’라고 해도 되는데 꾹 참고 ‘제가 그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몰라서 놓쳤어요’라고 솔직하게 말하는 편이다. 그래야 사람들이 나를 미워하지 않고 도와준다고 믿으면서 말이다. 바빠서 못했다고 하는 건 그렇게 얄미워도 몰라서 못 했다고 하면 살짝 한숨 쉬고 알려주게 되니까.

내가 제일 피하고 싶은 감정이 답답함이다. 그래서 좋다는 건지 나쁘다는 건지, 하겠다는 건지 말겠다는 건지 같은 시원하지 못한 대답. 그러니까 나라도 이 세계의 답답함의 총량을 늘리지 말자고 다짐하면서 답답함보단 쪽팔림을 감수하고 다음 주에도 ‘잘못했어요’ ‘내가 틀렸어요’ ‘그건 좋아요’ ‘그건 싫어요’를 외치면서 살자고 마음을 잡아본다.

이 마음을 잡는 데 도움이 되었던 영상과 글
The power of vulnerability Brené Brown | TED
영화 매기스 플랜 (2016)

Read more

요즘 일에 대한 생각들

1. 흑백요리사가 여전히 화제다. 하도 여러 셰프들이 이렇다, 저렇다 해서 질릴 만도 한데 봐도 봐도 질리지 않는 사람은 에드워드 리 셰프다. 어떻게 사람이 파도 파도 미담만 나오지. 유퀴즈에 출연한 것을 봤는데 요리를 퍼즐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걸 여기로 옮기고 저걸 저렇게 하면 어떻게 되지?’하는 마음으로 본다고, 요리 앞에선 어린아이가 된다고

시들함은 해롭다

‘무엇이 나를 살아있게 만드는가’라는 책을 읽었다. 즐겨보는 ‘장동선의 궁금한 뇌’에서 소개해서 읽게 되었다. 책에서는 ‘시들함’이라는 마음 상태를 정의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활력을 찾는 방법을 말한다. 마침, 당시 내 감정 상태도 딱 그러해서 공감하면서 읽었다. 책의 내용을 빌리자면 시들함은 다음과 같다. * 건강하고 경제적으로도 안정되었으니 축복받은 셈이라고 생각하면서 불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