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트리 정리함, 흐트러지지 않으리라

지금 사는 집에 이사온 지는 2년 정도 되었다. 처음엔 깔끔했는데 살다보니 삶의 부산물이 쌓여 예전같지 않아졌다. 이 정도면 필요한 만큼은 쌓아두고 살 수 있겠다고 생각했던 창고는 선풍기와 가습기같은 계절 가전들과 대량으로 구매한 화장지, 세제로 발디딜틈이 없어졌다. 정리가 필요했다.

로망이 있었다. 동일한 색상과 규격의 정리함으로 창고를 정리하는 것. 하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가장 큰 문제는 돈이다. 막상 정리함을 구매하려고 보면, 생각보다 무척 많이 필요하다. 한 3개면 되려나 싶어서 어떤 것을 넣을지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면 3개론 턱없이 부족하다. 쇼핑몰 사진처럼 모든 것을 같은 정리함에 넣으려면 창고를 가득 채울만큼의 정리함이 필요하다. 구매창에 필요한 갯수를 입력하면, 이 정도면 수납장을 사겠다 싶을 정도의 금액이 뜬다. 그래서 엄마들이 우유팩을 씻어서 접고, 패트병을 잘라서 정리함을 만들었나 싶다. 그들의 지혜에 감탄하며 나도 다른 가구를 살 때 달려온 작은 박스들과 선물이 들어있던 케이스들로 나름대로 정리하고 살았는데 그건 현실이지 로망이 아니다. 창고가 정리되면 마음에 평화가 찾아올 것 같고, 왠지 스트레스가 낮아질 것 같고, 내 삶이 한껏 멋있어질 것 같다고 나름대로 합리적인 이유를 열 가지쯤 찾고는 정리함을, 주문했다.

이틀 정도 걸려서 정리함에 모든 물건들을 넣어서 정리했다. 정말로 깨끗하고 밝았다. 투자해서 만들어낸 결과인 만큼 절대 이 깔끔함을 흐트리고 싶지 않았다. 문제는 그때부터였다. 이제 어떤 것도 쟁여둘 수 없었다. 그냥 사서 창고에 처박아둘 수가 없었다. 휴지를 사도 싸다는 이유로 24개씩 살 수가 없어졌다. 그러면 휴지를 보관하는 공간에 모두 넣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공간에 넘치게 산 물건들은 옆 물건의 공간을 침범할 것이고, 카오스가 되는 것은 한 순간이다. 세제를 두 세개씩 살 수 없어졌고, 주방 세제를 열 두개씩 사둘 수 없어졌다.

깔끔한 상태를 흐트리지 않고 살려면, 필요한 만큼만 쌓아두는 준비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3개월 뒤에 휴지 대란이 일어날 일도 없고, 갑자기 세제가 비싸질 일도 없다. 당장 쓸 물건이 없지 않을 정도로, 약간의 미래만 걱정하면서 대비해놓으면 된다. 그렇게 보니, 팬트리를 정리하는 것은 생각보다 심오한 일이었다.

요즘은 미래에 대한 대비도 아주 욕심을 부려서 했다. 앞으로 이런 커리어를 이어갈거고, 그래서 이런 일들을 계획하고 있는데 플랜 A가 안되면 플랜 B를 할거고 그게 아니라면 C, D,...하면서 Z까지 간 것 같다. 경제 계획도 그렇고 노후도 벌써 대비하려고 했다. 내 마음 속에 걱정 창고는 모두 각자의 칸을 넘쳐서 아주 정리가 안되는 카오스가 되고 만 것이다. 걱정도 욕심이다. 미래에 대한 걱정을 너무 욕심내서 하지 말자. 약간의 미래만 대비하자. 5년 후에 누렇게 바래버린 휴지를 쓰지 않으려면 여러모로 3개월치만 사두는 게 좋겠다.

Read more

어차피 처음은 욕심만큼 못해

잘 해내고 싶어서 욕심을 부릴 때가 있다. 하지만 욕심만큼 잘 해내는 일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내 욕심은 100에 있는데 실제로 할 수 있는 건 80정도 성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주 인터렉션을 매끄럽게 잘 만들고 싶은 화면이 있었다. 레퍼런스도 엄청나게 찾아보고 계속 파고들면서 이것저것 시도해 봤는데 결론은 허무하게도 복잡한 효과가 들어가지

회사 안의 내가 행복해야 회사 밖의 나도 행복하다.

참여하는 디자이너 스터디가 있다. 한 달에 한 번 책이나 특정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는데 지난 12월에는 연말답게 1년의 디자인 작업을 돌아보며 어떻게 일을 할 것인지에 관해 이야기했다. 이야기하다 보니 직장인으로서 누구나 빠지기 쉬운 순환 고리를 알게 되었는데 흐름은 이렇다. * 의욕적으로 회사 일을 열심히 하고 스스로를 갈아 넣는다. * 하다 보면 내 선에서

신뢰의 와우 모먼트

많은 영역이 직감으로 작동한다고 믿는다. 특히 사람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 첫인상이 오래 가는 것처럼 말이다. 최근에 신뢰도 선형적으로 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저가 어떤 서비스의 가치를 깨닫고 계속 쓰게 되는 순간을 와우 모먼트라고 말한다. 이 공식은 디지털 제품이 아니더라도 모든 경험에 존재한다. 고생하더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