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쯤 하면 얼마나 잘하겠어

이번 주에 생일이 있었고, 나이를 한 살 더 먹었다. 평소에 생각하기를, 앞으로 나이는 더해질 일만 있고 줄어들 일은 없는데 계속 슬프게 생각해 봤자 지는 게임이다, 나이 드는 것을 한탄하길 그만두자 이렇게 마음을 먹어왔다. 그렇긴 했어도 생일이란 센치해지기 마련인 건지, 또 그새 그걸 유튜브 알고리즘이 눈치챈 건지 “나답게 잘 사는 40대가 되고픈 2030에게” 를 추천해 주길래 물 흐르듯 영상을 보게 되었다.

영상은 요즘 것들의 사생활이라는 유튜브 채널에 황선우 작가, 김하나 작가가 나온 회차였다. 새로운 삶의 레퍼런스를 찾는다는 취지에 맞게 내가 상상해 온 나이 들어감과 전혀 다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특히 몇 가지 말들이 콕콕 박혀 옮겨온다.

  • (나이 드는 것에 관한) 환상을 깨시라. 40대가 되기 전에 느꼈던 불안감이 실제 40대 되고 나서 느끼는 것보다 더 컸다고 생각한다.
  • 40대 이후에 성장 기회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해다. 변화하는 세상에 맞춰 계속 배워야 하며, 개인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 40대에는 스스로에 대한 데이터가 많이 쌓여, 나의 취향이나 노력의 방향을 좁혀가는 지혜를 느낀다.

막연히 고인물, 꼰대, 노화에 대한 두려움이 누구나 있는 것 같다. 나이가 들면 이제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할 것 같고 뒤처질 것 같은 두려움. 이제 나에게 기대하는 것은 노련함이니 하던 일만 계속하게 될 거란 따분함, 그러니 한 살이라도 더 젊을 때 많은 것을 해보고, 더 높은 곳으로 부랴부랴 움직여야 할 것 같다는 불안감.

그래, 이거 다 환상이다.

내 할아버지는 86세이다. 아직도 혼자 대학 병원에 점진을 받으러 가실 수 있을 만큼 정신과 신체가 건강한 편이시다. 검진 후에는 신체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훨씬 젊다며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시냐고 되려 의사에게 질문을 받았다고 자랑스러워하셨다.

그 자부심은 근거가 있다. 할아버지는 매일 6시 30분에 일어나셔서 1시간 동안 각종 스트레칭을 하시고 아침, 점심, 저녁은 정해진 시간에 드신다. 탄단지 균형이 맞는 식사를 고집하시고 게다가 간식은 꼭 견과류로 드신다. 할아버지는 아직도 손이 발끝에 닫는 유연성을 뽐내시며 이게 다 노력해서 만든 습관이라며 손주들에게 자랑하신다.

그래서 난 할아버지가 평생 이렇게 사신 줄 알았다. 근데 ‘나 이렇게 산 지 10년밖에 안됐어(그럼 76세)’ 하셨다. 처음에는 손이 발끝에 안 닿았는데 하다 보니까 되더라, 브릿지 동작(무릎은 접고 누워서 엉덩이를 드는 동작)도 첨엔 못했는데 이제 30초는 버틴다는 말을 이어가셨다.

60세부터 해도 되는구나, 70세에 시작해도 되는구나. 이런 생각을 처음 해본 것 같다. 오히려 희망차다. 그래, 인생이 얼마나 빡빡한데 젊어서 노력해 둔 걸로 평생 우려먹을 수 있을 리가 없지. 계속 노력하고 시도해야지. 그게 당연하지.

이런 당연한 생각을 하니 나의 환상적인 두려움이 조금 사라지는 것 같다. 지금부터 시작해도 10년쯤 하면 얼마나 더 잘하겠냐, 그럴 여지가 있는 나이라고 생각하니 어떤 것도 늦지 않았고 어떤 것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Read more

요즘 일에 대한 생각들

1. 흑백요리사가 여전히 화제다. 하도 여러 셰프들이 이렇다, 저렇다 해서 질릴 만도 한데 봐도 봐도 질리지 않는 사람은 에드워드 리 셰프다. 어떻게 사람이 파도 파도 미담만 나오지. 유퀴즈에 출연한 것을 봤는데 요리를 퍼즐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걸 여기로 옮기고 저걸 저렇게 하면 어떻게 되지?’하는 마음으로 본다고, 요리 앞에선 어린아이가 된다고

시들함은 해롭다

‘무엇이 나를 살아있게 만드는가’라는 책을 읽었다. 즐겨보는 ‘장동선의 궁금한 뇌’에서 소개해서 읽게 되었다. 책에서는 ‘시들함’이라는 마음 상태를 정의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활력을 찾는 방법을 말한다. 마침, 당시 내 감정 상태도 딱 그러해서 공감하면서 읽었다. 책의 내용을 빌리자면 시들함은 다음과 같다. * 건강하고 경제적으로도 안정되었으니 축복받은 셈이라고 생각하면서 불안한